본문 바로가기
스토리

실용 음악 기초 화성학

by jazzin79 2025. 3. 15.

올해부터 스탠더드곡을 시작하면서

스탠더드는 필연적으로 코드 분석이 필요하다.

즉 이론을 알아야 한다.

5년 전? 이론을 얼추 하긴 했다.

공백기간 동안 다 까먹었지..ㅎ

예전 선생님과 함께 하던 교제가

 

재즈 화성학의 정통 고급 교제이다.

내가 모지리라,

사실 이해 하기가 어렵다.

스탠더드를 하면서 새로운 곡을 할 때면

분석을 하긴 해야 하는데

뜨문뜨문 기억이 나니 

진도가 안 나간다.

그래서 요즘 곡 연습을 못하는 이유도 있다.

이래저래 검색을 하다가 발견한

 

정말 말 그대로 기초를 아주 쉽게

잘 만들었다.

내 수준조차도 쏙쏙 이해가 된다.

연주자의 실력은 본인이 아는 만큼의 크기이다.

솔로는 정말 코드톤 

그리고 펜타토닉 스케일 이 두 가지 만으로도

충분하다고 생각한다.

하지만 화성학을 마스터하면 그 코드에서 사용 가는 한

1 3 5 7을 벗어나 다양한 텐션과 보이싱

대리 코드 및 서브 도미넌트까지..

결국 내가 알면 같은 코드진행에서의 솔로가

다양해지고 풍부한 사운드를 낼 수가 있다.

결국 아는 만큼이다.

스탠더드를 하면서 곡 양에 사실 욕심을 냈었다.

근데 지금은 생각이 바뀌었다.

블루스처럼 한곡을 하더라도 좀 더

다양한 레퍼토리

그리고 여러 대가들의 멜로디 연주 카피

여기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.

 

 

 

'스토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다시 돌아온 ES-125(1963)  (1) 2024.12.30
Jazz Blues in Bb #71  (0) 2024.12.21
Gibson es-330 나일론 새들 교체  (0) 2024.12.13
장비개편-125 가고 175  (2) 2024.12.05
장비 개편 - 아루바..  (0) 2024.12.02